• 로그인/회원가입

역사칼럼

[정진홍의 소프트파워] 역사는 미래다

[정진홍의 소프트파워] 역사는 미래다

[중앙일보] 입력 2012.10.20 00:16
더 편리해진 뉴스공유, JoinsMSN 뉴스클립을 사용해 친구들과 공유하세요

정진홍
논설위원

# 백 년 전 스물다섯 살 난 망국의 청년이 지금의 러시아 우스리스크 지방에서 발해의 유적을 찾아 나섰다. 산운 장도빈(汕耘 張道斌)이 그였다. 당시 그는 블라디보스토크에 망명한 후 ‘권업신문’에 기고하면서 때로 단재 신채호가 와병 중일 때는 주필의 역할을 대행하기도 했다. 그와 단재의 만남은 나라가 망해가던 1908년 즈음 스물한 살이던 산운이 여덟 살 위의 단재를 주필로 모시고 ‘대한매일신보’의 논설위원으로 활약하던 때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그는 나라가 망하는 것을 보고 독립혼을 되살리려면 국사, 특히 고대사 연구에 매진해야 한다고 생각한 터였다. 아마 단재의 영향도 받았을 것이다. 하지만 단재가 고조선과 부여 및 고구려사에 보다 관심 가졌다면, 산운이 좀 더 집중한 것은 발해사였다.

 # 조선 정조 때 북학파 학자였던 유득공이 1784년 『발해고(渤海考)』를 쓴 것은 획기적인 것이었다. 그것은 발해가 부여의 풍속을 간직하고 고구려의 옛 영토 위에 세워진 고구려의 후예국이며 신라와 더불어 남북국시대를 이룬 우리 민족의 나라였음을 최초로 천명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유득공은 직접 발해 땅을 밟아보진 못했다. 발해를 찾아서 나선 것은 그로부터 128년 후에 산운 장도빈이 한 일이었다. 그는 문헌연구에 머물지 않고 발해의 고토를 찾아 직접 현장으로 나섰던 것이다.

 # 꼭 반세기 전 당시 우리 지성계를 움직이던 『사상계』 1962년 4월호에는 ‘지나간 20대들’이란 타이틀 아래 산운의 글 ‘암운 짙은 구한말’이 실렸다. 당시 75세였던 그가 50년 전 자신의 20대를 돌아보며 쓴 글이다. 산운이 죽기 일 년 전에 쓴 이 글을 통해 우리는 그가 발해 땅을 찾아나선 까닭과 개략적인 행적을 추정해볼 수 있다. 산운은 군대가 해산되고 외교권마저 박탈당한 채 경술국치로 치닫던 망국의 궤적을 직시하면서 국사연구에 매진했다. 아울러 그는 도산 안창호가 선창하고 양기탁, 이갑, 이동휘, 박은식, 이동녕, 이회영, 이승훈, 김구 등 애국지사들이 총집결한 신민회에서 활동하는 한편 오성학교 학감으로 미래의 애국자를 키우기 위한 교육에 헌신했다. 하지만 학교가 총독부에 의해 문을 닫게 되자 1912년 망명길에 올랐다. 그가 망명한 곳은 다름아닌 해삼위(海蔘威), 지금의 블라디보스토크였다. 그는 잃어버린 조국을 되찾으려면 먼저 우리 본래의 웅혼한 혼과 정신을 일깨워야 한다고 봤다. 그래서 산운은 연해주 일대를 떠돌며 잊혀진 나라, 해동성국 발해를 찾아 나섰던 것이다. 그는 반 토막 난 남국(南國) 신라에 갇히지 않고 역사 속에 잠들어 있던 북국(北國) 발해를 깨웠다. 그러나 정작 우리는 백 년 전 연해주의 허허벌판을 홀로 헤매었을 스물다섯 살 청년의 뜨거운 열정조차 까맣게 잊고 있었다.

 # 지난 15일 오전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소재 연방극동대학교 한국학대학 내의 장도빈기념관 소강당에서 블라디미르 쿠릴로프 연방 극동대 부총장(연방대 승격 전엔 총장)은 “연해주 지역의 첫 국가는 발해였다”고 언명했다. 그 말을 듣는 순간 내 몸에는 전율이 일고 눈가엔 이슬이 맺혔다. 독도가 일본 땅일 수 없듯 발해가 중국의 변방사일 수 없는 것은 아무도 거들떠보지 않을 때 우리의 잊혀진 뿌리였던 발해를 찾아 나선 젊은 산운 덕분 아닌가! 기념관을 나서며 옛 러시아 해군의 구식대포와 대포알을 녹여 만들었다는 산운의 흉상 앞에 서서 그를 바라보며 이렇게 되뇌었다.“백 년 전 그가 발해유적을 찾아나선 까닭이 천 년 전 옛 땅에 대한 그리움 때문만은 아니었으리. 그보다도 미래에 우리가 나아가야 할 방향제시 때문이었으리라!”

 # 천 년 전에도 우리는 하나가 되지 못한 채 남의 신라와 북의 발해로 나뉘어진 남북국시대였다. 그리고 백 년 전엔 아예 망한 나라였다. 하지만 산운 같은 이들이 무너진 나라를 다시 일으킬 꿈을 안고 작지만 의미 있는 역사의 혼불을 되살리려 동분서주했기에 오늘이 있고 내일 또한 열려 있다. 정말이지 역사는 살아있는 미래다!

정진홍 논설위원 


이 글을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이 글을 트위터로 퍼가기 이 글을 카카오스토리로 퍼가기 이 글을 밴드로 퍼가기

역사칼럼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103 [박기철의 낱말로 푸는 인문생태학]배달과 박달 : 밝게 살자 (경성대 광고홍보학과 교수) 역사광복 2021-02-04 4,055
102 국내 대표신학자 박순경 교수 "환단고기를 꼭 읽어보라" 역사광복 2021-02-04 3,588
101 새해가 밝았다…한국인의 '본모습' 찾아야 [윤명철의 한국, 한국인 재발견] 역사광복 2021-01-06 3,535
100 유럽의 땅 발칸반도서 아시아 기마유목민 역사 펼쳐지다 김석동 지평인문사회연구소장 역사광복 2021-01-06 11,147
99 이병도(李丙燾) "학도병은 대일본제국 군인으로 화랑처럼 싸워라" 역사광복 2021-01-06 3,478
98 임나일본부 모르는 남원시. 시장부터 나서서 유네스코에 남원이 임나지역이었음을 등재하겠다고 나섰다. 역사광복 2020-12-26 3,994
97 식민교육의 노예로 전락한 학계 ,언제 바로서나 (이을형 숭실대 전 법대 교수) 역사광복 2020-12-20 4,469
96 흉노(HUN), 그들은 누구인가! 이상형 2020-12-17 3,813
95 천문과학이 밝히는 고조선의 수도(아사달)는 하얼빈이었다. 역사광복 2020-12-05 3,030
94 일요주간신문 특별기고)) 必敗이자 完敗 “환단고기 위서론 주장” 역사광복 2020-12-05 3,410
93 [이덕일의 역사를 말하다] 가야가 3세기에 건국되었다고 우기는 역사학자들 역사광복 2020-11-12 3,172
92 [k- route를 가다] “고인돌 루트(dolmen Route)”의 실체 16회(유럽편2) 마지막회 역사광복 2020-11-11 3,235
91 [k- route를 가다] “고인돌 루트(dolmen Route)”의 실체 15(유럽편1) 역사광복 2020-11-11 3,520
90 [k- route를 가다] “고인돌 루트(dolmen Route)”의 실체 14(아메리카편) 역사광복 2020-11-11 2,547
89 [k- route를 가다] “고인돌 루트(dolmen Route)”의 실체 13(아프리카편) 역사광복 2020-11-11 2,355
EnglishFrenchGermanItalianJapaneseKoreanPortugueseRussianSpanishJavane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