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그인/회원가입

역사칼럼

독립운동사를 가르치지 않는 한국

 

독립운동사를 가르치지 않는 한국


민족사학계의 거센 비판을 받아 부분적으로 시정되었지만, 이 땅의 2세들이 보는 역사 교과서는 여전히 일제 식민사학의 마수 魔手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한민족 최초의 국가'라고 잘못 소개된 고조선사는 알맹이가 빠진 채 10쪽 내외로 간략이 기술되고, 삼국 시대에서 조선시대까지의 역사는 온통 불교사와 유교사로 채색되어 있다.

근대사 서술도 문제가 심각하다. 한국의 근대사는 일본, 러시아, 청나라 등의 침략과 더불어 시작되었기 때문에 외세 항거운동과 독립운동을 결코 가벼이 넘길 수 없다. 그리고 독립운동사라면 무장투쟁사를 우선하는 것이 원칙이다. 하지만 국사교과서는 독립운동은 거의 다루지 않고 식민지 체제 내의 애국계몽 운동이나 실력양성 운동 등 근대사 서술을 주로 다룬다. 무장투쟁사는 이름만 겨우 소개될 정도이다. 예컨대 고등학교 교과서를 보면, 항일 투쟁을 이끈 독립군 3부는 참의부, 정의부, 신민부 라는 이름만 나올 뿐, 그 활동 내용에 대한 구체적 서술이 없다.*

학생들은 독립군 3부가 일제와 어떻게 싸웠는지도 모르고 이름 외우기에 바쁘다. 독립군 3부의 무장 투쟁내용을 함구한 채, 국사 교과서는 '1940년 광복군이 창설되었으나 곧이은 일제의 패망으로 본격적인 전투에 나서지 못하였다.'는 것으로 임시정부의 활동 소개를 마친다. 이 책으로 역사를 배우는 학생들은, 청산리, 봉오동 전투 외에는 별다른 무장 투쟁 없이 연합국 승전의 부산물로 한국이 해방된 것으로 인식할 수 밖에 없다. 

이 땅의 역사 교과서는 독립운동사를 약술하는 데에서 그치고, 일제의 역사날조 만행에 대해서는 단 한 줄도 언급하지 않는다. 그러면서 총독부의 주택난 해결 정책은 세밀히 묘사한다. 일본 덕분에 인구가 증가하고 큰 발전을 이룬 것처럼 장황하게 서술하는 것이다. 최근 온 국민이 나서서 일본 교과서에 실린 조선사 왜곡 내용을 질타하지만, 정작 이 땅의 역사 교과서는 일제 식민사관의 틀에 여전히 갇혀있는 것이다.**

 


* 참의부는 임시정부 산하의 행정, 군사 조직으로 1924년 압록상을 순시하던 사이토 마코토 총독이 탄 배에 수백 발의 총탄을 퍼부어 혼비백산 도주하게 만들었다. 정의부는 수많은 국내 진공작전을 전개한 의용군 조직이다. 독립군 3부의 조직과 활동은 독립운동사에서 생략되어도 좋을 내용이 결코 아니다. 그렇건만 고등학교 국사 교과서는 본문에 "독립군은 다시 만주로 이동하여 각 단체의 통합 운동을 추진하여 참의부, 정의부, 신민부의 3부를 조직하였다. 이 가운데 참의부는 임시정부가 직할하였다."라고만 서술하고 있다.

** 한민족의 근대사에 대한 은폐는 비단 교과서에서만 벌어지는 일이 아니다. 해방 후 1980년대까지 역사학도들에게 근현대사는 일종의 금기 영역이었다. 그 사이에 독립운동에 대해 생생한 증언을 해 줄 전사들은 대부분 고통과 가난 속에 생을 마감해야 했다. 독립운동사 연구가 금기사항이다보니, 정의부에 대한 박사학위 논문, '정의부 연구'가 나온 것은 1998년이고, '참의부 연구'가 나온 것은 2005년이다. 신민부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박사학위 논문 하나도 없는 형편이다.

 

 


상생출판 환단고기 540-541페이지를 그대로 옮긴 것입니다.


 

1241327886.jpg


대한민국임시정부 개선환영 시가행진

 



cham.jpg

참의부 대원들





이 글을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이 글을 트위터로 퍼가기 이 글을 카카오스토리로 퍼가기 이 글을 밴드로 퍼가기

역사칼럼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103 [박기철의 낱말로 푸는 인문생태학]배달과 박달 : 밝게 살자 (경성대 광고홍보학과 교수) 역사광복 2021-02-04 4,055
102 국내 대표신학자 박순경 교수 "환단고기를 꼭 읽어보라" 역사광복 2021-02-04 3,588
101 새해가 밝았다…한국인의 '본모습' 찾아야 [윤명철의 한국, 한국인 재발견] 역사광복 2021-01-06 3,535
100 유럽의 땅 발칸반도서 아시아 기마유목민 역사 펼쳐지다 김석동 지평인문사회연구소장 역사광복 2021-01-06 11,147
99 이병도(李丙燾) "학도병은 대일본제국 군인으로 화랑처럼 싸워라" 역사광복 2021-01-06 3,478
98 임나일본부 모르는 남원시. 시장부터 나서서 유네스코에 남원이 임나지역이었음을 등재하겠다고 나섰다. 역사광복 2020-12-26 3,994
97 식민교육의 노예로 전락한 학계 ,언제 바로서나 (이을형 숭실대 전 법대 교수) 역사광복 2020-12-20 4,469
96 흉노(HUN), 그들은 누구인가! 이상형 2020-12-17 3,813
95 천문과학이 밝히는 고조선의 수도(아사달)는 하얼빈이었다. 역사광복 2020-12-05 3,030
94 일요주간신문 특별기고)) 必敗이자 完敗 “환단고기 위서론 주장” 역사광복 2020-12-05 3,410
93 [이덕일의 역사를 말하다] 가야가 3세기에 건국되었다고 우기는 역사학자들 역사광복 2020-11-12 3,172
92 [k- route를 가다] “고인돌 루트(dolmen Route)”의 실체 16회(유럽편2) 마지막회 역사광복 2020-11-11 3,235
91 [k- route를 가다] “고인돌 루트(dolmen Route)”의 실체 15(유럽편1) 역사광복 2020-11-11 3,520
90 [k- route를 가다] “고인돌 루트(dolmen Route)”의 실체 14(아메리카편) 역사광복 2020-11-11 2,547
89 [k- route를 가다] “고인돌 루트(dolmen Route)”의 실체 13(아프리카편) 역사광복 2020-11-11 2,355
EnglishFrenchGermanItalianJapaneseKoreanPortugueseRussianSpanishJavane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