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그인/회원가입

자유게시판

만리장성의 실체(조선 시대 1400년에 만든 명나라 장성)

[출처] 수구리의 우리고대사 https://blog.daum.net/tnrnfle/76

■ 중국 북경의 만리장성은 진시황의 진나라 만리장성이 아닙니다

1) 지금의 만리장성은 명나라 3대 황제 영락제인 주체가 남경에서 북경으로 수도를 옮기면서

북방민족으로부터 북경을 방어하기 위해 1400년에 벽돌로 만든 명나라 장성입니다

2) 조선시대 고지도에 나타는 북경에서 압록강까지의 장성처럼 보이는 것은

장성이 아니라 명나라 국경선 표시이며 일부 구간은 목축(나무를 세워 만든 울타리)입니다

그런데 산해관에서 요동반도까지 명나라 시대의 국경선 표시(일부구간은 목축)을

진시황 시절의 진나라 만리장성이라고 우기는 동북공정을 주장합니다

또한 요동반도의 고구려성 흔적을 없애고 고구려성 위에..

새로운 가짜 장성 일부를 만들어 요동반도에 있는 진시황의 진나라 만리장성이라고

선전 선동하고 있습니다

( 유물이 중요하기에 유물을 조작하는 것이 중국의 유물사관의 실체입니다

중국 산동성에서 고조선 유물인 비파형 동검이 출토되었고

중국 산동성고인돌은 중국이 대부분 파괴하였습니다)

■ 고구려 압록수(압록강)는 지명이동이 4번 있었다고 봅니다

을지문덕 장군 시절에 고구려와 수나라와 전쟁기록인 북사(北史)에 압록수(압록강)이 처음 등장하는데..

중국왕조에서 천제국인 고구려 평양에 가기위해서는 반드시 건너야하는 큰 강으로 봅니다

압록수는 지명 이동이 4번있었다고 봅니다

1) 장수왕 평양인 요동군/낙랑군(하북성 형수시) 평양 시기에는 호타하가 압록수였고

2) 고구려 말기의 평양인 장안성(진황도시) 평양 시기에는 난하가 압록수였고

3) 고려초기의 평양인 요동반도(요양시) 평양시기에는 요하가 압록수 였고

4) 조선 초 평양인 북한(고구려 부훙운동을 한 안승의 금마저金馬渚) 평양 시기에는 지금의 압록강입니다

※주) 금마저金馬渚의 저渚는 모래섬이나 삼각주를 의미하는데...

대동강과 보통강 사이(삼각주)의 지금의 북한 평양입니다

따라서 하북성 중부 --> 하북성 북부 --> 요령성 --> 북한으로

고구려 평양 지명 위치가 옮겨감에 따라

평양 이동에 맞추어 압록수 이름도 이동했다고 봅니다

이 글을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이 글을 트위터로 퍼가기 이 글을 카카오스토리로 퍼가기 이 글을 밴드로 퍼가기

자유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20 대한사랑 신시개천 5918/단기4354/ 2021년 달력 나왔습니다. 역사광복 2020-12-20 1,462
19 (청와대청원 링크) 일본은 요시노가리 유적을 지켰다. 대한민국은 춘천중도선사 유적을 덮을 것인가? 커발한 2020-07-06 1,513
18 경자년 새해 복 많이 받으셔요 ^^ 대한남아 2020-01-24 1,822
17 11월 5일(화) MBC 피디수첩에서 춘천 중도 고조선 유적지에 대해서 다룹니다. admin 2019-11-02 1,973
16 개천문화 국민대축제 1부 2019 K-HISTORY CULTURE admin 2019-10-30 1,639
15 역사전쟁과 러시아의 한국학 커발한 2019-08-14 1,556
14 미완의 꿈, 삼균주의와 문화강국 커발한 2019-07-13 2,071
13 반만년 역사를 한 학기에 '뚝딱'..한국사 교육 실태 커발한 2019-06-10 2,702
12 환단고기를 통한 한국고대사 정립 국민 대토론회 커발한 2019-05-21 2,696
11 일본의 역사 교과서 왜곡 커발한 2019-05-03 1,475
10 이집트 역사 중 BC 2650년에 피라미드 건설하던 시대에 우리나라 역사에 대하여 심조불산 2019-04-12 4,945
9 극한에너지 우주선, 북두칠성서 온다 커발한 2019-01-30 2,160
8 천부경은 하이데거도 관심을 가질 정도로 중요한 문헌이다 대산 2017-11-28 1,763
7 단군(檀君)은 신화가 아닌 우리 국조(國祖)이다 대산 2016-03-31 1,445
6 민족사학자 박성수 박사의 타계를 애도하며 대산 2016-03-03 2,243
EnglishFrenchGermanItalianJapaneseKoreanPortugueseRussianSpanishJavane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