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그인/회원가입

자유게시판

발해(勃海,渤海)는 옛날에 산동성에 있는 호수湖水 이름이었다

[아래 지도 출처] [스크랩] 낙랑군 수성현 위치(한국 상고사 대.. : 네이버블로그 (naver.com)
※ 주) 원근법을 사용하여 작성 낙양에서 바라 본 화북평야 지도로 보입니다 


중국 고대 문헌에서 발해는 勃海 渤海를 혼용해서 사용하고,
발해(勃海 渤海) 옛날에 산동성에 있는 호수湖水 이름이었는데... 산동성 발해 호수가 없어져서
고려 때, 대조영의 발해국(대진국) 앞바다인 요동반도 앞바다 이름이 발해가 된 것으로 추정된다


■ 발해渤海 호수의 위치 비정
산동성山東省 덕주시德州市(태산 위 황하 북쪽)를 춘추 전국 시대의 발해海 호수로 비정한다.

1) 춘추전국 시대에는 큰 호수나 강을 해海(바다)라고 했다
- 청해성靑海省의 청해호靑海湖도 옛날에는 청해靑海였다
초성왕楚成王이 제환공齊桓公에게 보낸 서신에서, 북해는 산동성의 황하(黃河)나 소양호(昭阳湖),
남해는 호북성 아래의 양쯔강(揚子江)이나 동정호(洞庭湖)다

초나라가 제후의 군중으로 사신을 보내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군주는 북해에 살고 과인은 남해에 살아 바람난 우마(牛馬)도 서로 미칠 수 없는 먼 거리이니군주께서 우리의 땅에 오실 줄은 생각지 못하였소.’(楚子使與師言曰君處北海寡人處南海唯是風馬牛不相及不虞君之涉吾地也何故)”라고 기록되어 있다. <춘추좌씨전 노희공(魯僖公) 4(기원전 656)>
[출처] 32-06[史記(사기) 세가(世家)] 권32.齊太公世家(제태공세가) (6/14) <제 환공(齊 桓公)>②

2) 제나라 장자(章子)가 5도(五都)의 군사와 북방의 무리들을 거느리고 발해(渤海)를 따라 진군하여 연나라를 정벌했고 [출처] 34-04[史記(사기) 세가(世家)] 권34.燕召公世家(연소공세가:연세가) (04/06)<연왕 쾌(燕王 噲)>1

3) 위만 조선을 정벌하기 위해 한漢나라 누선장군(樓船將軍) 양복(楊僕)이 제 땅에서 출발해 발해(渤海)를 건넜고 [출처] 115-1/2[史記列傳(사기열전)] 권115.朝鮮列傳(조선열전) (1/2)

4) 한 고조(유방)이 초황 한신을 토벌 한 후 연회 자리에서 전긍(田肯)이 축하를 올리며 고조에게
"... 제나라 지역은 동쪽으로 낭야(琅邪)와 즉묵(卽墨)의 비옥함이 있고, 남쪽으로는 태산의 험요함이 있으며, 서쪽으로는 탁하(濁河)의 경계가 있고, 북쪽으로 발해(渤海)의 이점이 있습니다. ..."
라고 하였다 [출처] 08-14[史記(사기) 本紀(본기)] 권08.高祖本紀(고조본기) (14/19)

※ 주) 제나라는 산동성 태산 북부 치박시(淄博市)임치구(臨淄區)가 중심인데 제의 북쪽이 발해라면...
덕주시 부근이 발해였다는 추론이 가능하다

5) [원문] 師古曰在勃海之濱因以為名.
발해군은 사고가 말하기를 발해가 있기 때문에 이름지어진 것이라 했다
[출처] 발해군 勃海郡(한서지리지-유주)

※ 주) 발해군은 발해가 존재하기에(在) 붙여진 것이고, 발해 남쪽이 바다라고 불리수 있는 큰 타원형 모양의 빈 공간이 있고, 발해군 밖의 타원형 모양 중간 위치에 덕주시德州市가 있는데...
덕주시 옛날에 아주 큰 호수였던 지형적인 특징과 흔적이 남아 있다.

♥♥♥♥♥
따라서
♥♥♥♥♥
산동성에는 바다라고 부르는 큰 호수인 발해渤海가 있었고 덕주시德州市 발해渤海 호수로 비정한다


■ 덕주시德州市가 아주 큰 호수였다는 지형적인 특징과 흔적
1) 덕주시에는 너비가 3km인 큰 호수가 2개 있다(정동수고丁東水庫, 선인호수고仙人湖水庫)
2) 서쪽에서 남쪽까지 여러 개의 강이 덕주시로 모이고, 덕주시에서 여러개의 강이 서쪽에서 북쪽, 동쪽 방향을 향하여 부채꼴 모양으로 흩어진다
-. 덕주시로 모이는 강 : 위하卫河, 육오하六五河, 마협하马颊河, ,격진하鬲津河.홍구하洪沟河 등
-. 덕주시에서 흩어지는 강 : 사하沙河,강강하江江河, 혜민거惠民渠, 선혜화宣惠河, 경항운하京杭运河,
마협하马颊河, 덕혜신하德惠新河 등



■ 덕주시德州市 위치 및 강들의 흐름 지도 


 



이 글을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이 글을 트위터로 퍼가기 이 글을 카카오스토리로 퍼가기 이 글을 밴드로 퍼가기

자유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80 진경대사탑비에 임나가 가야라는 근거가 있다? 수구리 2023-01-11 928
79 일제가 만든 식민사관과 학교에서 배운 우리나라 역사의 차이 수구리 2023-01-09 809
78 임나가 가야라는 주장은 한반도 남부가 고대 일본(야마토 왜)의 식민지 였다는 주장이다 수구리 2022-10-27 927
77 당태종이 요수를 건너 군영을 설치한 마수산의 위치는... +4 수구리 2022-10-01 966
76 삼국지 위서동이전의 고구려 평양성 위치 고찰(북한 평양이냐? 진황도시냐?) 수구리 2022-09-22 1,609
75 연나라 장수 진개에게 빼앗긴 땅은 하북성 중부 호타하 남쪽 지역이다 수구리 2022-08-11 1,105
74 전국시대 연나라 위치는 하북성 중남부 지역이었다(한비자, 염철론 내용) 수구리 2022-08-05 1,059
73 사마천 사기에 나타난 춘추시대 연나라 위치는 제나라와 진나라 사이다(燕內措齊晉) 수구리 2022-07-29 1,478
72 사마천 사기에 따르면 황제는 치우의 신하였고, 주나라는 단군조선의 신하였다 수구리 2022-07-24 1,288
71 임나일본부설(임나가야설)의 임나가라나 임나는 가야인가? 아닌가? 수구리 2022-06-28 1,227
70 홍산문화의 고고학 유물로 밝혀진 고조선의 역사(고조선 영토 지도) +2 수구리 2022-06-18 1,568
69 중국 산동성에서 고조선의 비파형 동검이 출토되었는데 한성 백제의 유물은? 수구리 2022-03-19 1,087
68 만리장성의 실체(조선 시대 1400년에 만든 명나라 장성) 수구리 2022-03-12 1,042
67 고조선 영토와 춘추시대 지도로 알아보는 주나라 영토 +3 수구리 2022-02-16 1,434
66 황하 흐름의 시대별 변화(요동 요서를 나누는 기준은 요수가 아님) 수구리 2022-02-04 1,372
EnglishFrenchGermanItalianJapaneseKoreanPortugueseRussianSpanishJavane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