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그인/회원가입

역사뉴스

"관동 대지진때 '조선인 人種청소'…관동 대학살로 불러야"

"관동 대지진때 '조선인 人種청소'…관동 대학살로 불러야"

조선일보 2013-08-30 03:25 

'대지진 90년' 학계 목소리"사망 1만~2만명" 주장 나와… 日은 은폐하고 한국은 외면

90년 전인 1923년 9월 1일 오전 11시 58분, 일본 수도 도쿄(東京)가 속한 간토(關東) 지방에서 규모 7.9의 큰 지진이 일어났다. 이 자연재해는 수많은 한국인이 일본인 손에 학살되는 참극으로 이어졌다.

여전히 '관동 대지진'으로 기억되는 이 사건에 대해 "이제 '관동 대학살'로 고쳐 부르자"는 주장이 학계에서 제기되고 있다. 허동현 한국현대사연구원장은 "피해자였던 우리의 입장에서 용어를 정립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당시 일본 정부는 '조선인이 방화·폭동을 저지르고 있다'는 유언비어를 유포했고, '조선인은 죽여도 괜찮다'는 선동까지 했다. 나치의 유대인 학살, 일본군의 난징 대학살에 버금가는 잔혹한 인종 청소, 대량 학살이었다. 학살된 한국인은 6600여명이라는 것이 기존설이지만, 1만~2만명에 이른다는 통계도 있다.

그러나 이 사건이 더 비극적인 것은 일본은 물론 한국에서조차 제대로 된 진상 규명 시도가 이뤄지지 않았다는 점이다. 일본은 후안무치했고 한국은 게을렀다. 사건 이후 일본 정부는 진상 은폐→민간인에게 떠넘기기→가해자 불처벌→교과서 왜곡의 수순을 밟아왔다. '위안부' 강제 동원을 부정하는 논리와 같은 방식이다. 한국 정부 역시 이 문제에 대해 공식적으로 문제를 제기하거나 사과를 요구한 적이 없다.

이제 '관동 대학살'에 대한 진상 규명과 사죄에 대한 논의를 시작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점점 강해지고 있다. 일본 시민단체에서도 조상의 반(反)인륜 범죄에 대한 반성 움직임이 일고 있다. 피의 역사를 외면하는 것은 '제2의 관동 대학살'을 방조하는 일과 다르지 않다.

이 글을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이 글을 트위터로 퍼가기 이 글을 카카오스토리로 퍼가기 이 글을 밴드로 퍼가기

역사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공지 동북아역사재단 이사장에 맞지 않는 영국사 전공 박지향 (심백강 역사학 박사) 역사광복 2024-04-28 1,199
공지 김정호 국회의원, 가야사 복원과 바로 세우기 위해 노력 할 것 보은이 2022-07-15 46,866
129 2020 미사협 '한국바른역사학술원'학술대회 역사광복 2020-11-19 2,685
128 고대 일본 씨족 계보서 '신찬성씨록' 역주본 발간 +1 역사광복 2020-11-11 2,986
127 대한사랑 계간지 1호,2호 ebook 공개 역사광복 2020-11-11 2,322
126 실크로드 복식교류전 개최. 유라시아 문명교류사 밝힌다. 역사광복 2020-11-09 2,427
125 '임나는 가야가 일본에 만든 소국' 역사광복 2020-11-08 2,500
124 2020 세계개천문화대축제 개최 20201103 충청투데이 이상형 2020-11-04 2,154
123 2020 세계개천문화대축제 개최 (인천일보) 이상형 2020-11-04 1,979
122 "1909년 환단고기 - 환단고기의 진실과 위서론의 거짓" 출간 역사광복 2020-10-28 2,267
121 국내 대표신학자 박순경 교수 "환단고기를 꼭 읽어보라" 커발한 2020-10-27 2,104
120 봉오동 독립전쟁 100주년 최운산을 기록하고 기억하다. 대한남아 2020-07-05 2,355
119 박석재 박사의 <하늘의 역사> 17일 첫 방영 바른역사 2020-04-20 2,173
118 참환역사신문 발행인 이지영 총재 영면 바른역사 2020-04-20 2,232
117 [신간] 이찬구 박사의 『새로운 광개토태왕릉비 연구』 바른역사 2020-04-12 1,989
116 유학자 이기동 교수 "『환단고기』는 결코 위서가 아닙니다" 바른역사 2020-04-12 2,355
115 [동아플래시100]‘전설이 아닌 역사’ 민족 시조 ‘단군’을 그려주세요 바른역사 2020-04-12 2,096
EnglishFrenchGermanItalianJapaneseKoreanPortugueseRussianSpanishJavane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