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그인/회원가입

역사뉴스

일제 식민사관 여전히 건재해

일제 식민사관 여전히 건재해


2013-02-06 15:38

주류 역사학계 비판한 이주한 연구위원

'한국사가 죽어야 나라가 산다' 출간

(서울=연합뉴스) 황윤정 기자 = "한국사는 죽었다."

역사비평가 이주한 한가람역사문화연구소 연구위원이 신간 '한국사가 죽어야 나라가 산다'(역사의아침)에서 한국사에 '사망선고'를 내렸다.

이 책에서 그는 작정한 듯 주류 역사학계에 대한 거침없는 비판을 쏟아냈다.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가 설립한 조선사편수회가 창안한 식민사관이 지금도 주류 역사학계를 통해 견고하게 유지되고 있다는 게 그의 주장이다.

이 연구위원은 한국 사학계의 태두로 불리는 고(故) 이병도 선생 등 주류 역사학자들의 실명을 거론하며 비판하는 것은 물론 국사편찬위원회, 동북아역사재단 등 국가기관들도 앞장서서 식민사관을 확대 재생산해왔다고 주장했다.

그는 "광복 68년을 맞이하는 지금까지 조선총독부 산하 조선사편수회가 창안한 식민사관은 단 한 번도 종합적으로 검토되거나 해체되지 못했다"면서 "조선사편수회에서 한국사를 날조한 이들이 한국 주류 역사학계를 장악한 결과"라고 주장했다.

이 연구위원은 6일 연합뉴스와 전화통화에서 '한국사가 죽었다'고 한 것은 "한국사의 원형이 일제 식민사관에 의해 왜곡되고 훼손됐다는 것을 상징적으로 표현한 것"이라면서 "식민사관은 문헌에 근거하지 않은 침략 논리에 불과한 것인데 해방된 지 60년이 지났는데 아직도 우리 사회를 지배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주류 역사학계 전체를 비판한 것은 아니며 주류 역사학계에도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를 하는 분들이 굉장히 많다"면서 "문제는 식민사관"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병도 박사 등 주류 역사학계를 비판하는 것은 하나의 금기가 됐고 학계에 있는 분들은 날카롭게 문제를 제기하기 힘든 상황"이라면서 "주류 역사학자들이 쓴 텍스트 등 근거를 갖고 문제를 제기했다"고 강조했다.

학계 반응을 묻자 "책이 나온 지 일주일이 되지 않아 학계 반응은 아직 확인하지 못했다"면서 "주류 역사학계는 자기들이 설정한 정설과 다른 해설이나 주장에 대해서는 일방적으로 매도하는데 다른 해석의 여지를 열어두는 것이 역사학"이라고 말했다.

숭실대 사학과를 졸업한 이 연구위원은 단재 신채호 선생 기념사업회 간사를 지냈다.

그는 "역사관은 총체적인 가치관과 세계관을 함축하고 개인, 사회, 국가가 지향해야 할 방향성을 담아내고 있어 단순히 역사학계만의 문제가 아니다"면서 "식민사관이 죽어야 희망이 있다"고 역설했다.



이 글을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이 글을 트위터로 퍼가기 이 글을 카카오스토리로 퍼가기 이 글을 밴드로 퍼가기

역사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공지 동북아역사재단 이사장에 맞지 않는 영국사 전공 박지향 (심백강 역사학 박사) 역사광복 2024-04-28 1,199
공지 김정호 국회의원, 가야사 복원과 바로 세우기 위해 노력 할 것 보은이 2022-07-15 46,866
129 2020 미사협 '한국바른역사학술원'학술대회 역사광복 2020-11-19 2,685
128 고대 일본 씨족 계보서 '신찬성씨록' 역주본 발간 +1 역사광복 2020-11-11 2,986
127 대한사랑 계간지 1호,2호 ebook 공개 역사광복 2020-11-11 2,322
126 실크로드 복식교류전 개최. 유라시아 문명교류사 밝힌다. 역사광복 2020-11-09 2,427
125 '임나는 가야가 일본에 만든 소국' 역사광복 2020-11-08 2,500
124 2020 세계개천문화대축제 개최 20201103 충청투데이 이상형 2020-11-04 2,154
123 2020 세계개천문화대축제 개최 (인천일보) 이상형 2020-11-04 1,979
122 "1909년 환단고기 - 환단고기의 진실과 위서론의 거짓" 출간 역사광복 2020-10-28 2,267
121 국내 대표신학자 박순경 교수 "환단고기를 꼭 읽어보라" 커발한 2020-10-27 2,104
120 봉오동 독립전쟁 100주년 최운산을 기록하고 기억하다. 대한남아 2020-07-05 2,355
119 박석재 박사의 <하늘의 역사> 17일 첫 방영 바른역사 2020-04-20 2,173
118 참환역사신문 발행인 이지영 총재 영면 바른역사 2020-04-20 2,232
117 [신간] 이찬구 박사의 『새로운 광개토태왕릉비 연구』 바른역사 2020-04-12 1,989
116 유학자 이기동 교수 "『환단고기』는 결코 위서가 아닙니다" 바른역사 2020-04-12 2,355
115 [동아플래시100]‘전설이 아닌 역사’ 민족 시조 ‘단군’을 그려주세요 바른역사 2020-04-12 2,096
EnglishFrenchGermanItalianJapaneseKoreanPortugueseRussianSpanishJavanese